• 2023. 12. 7.

    by. 연금술의 고리

    728x90

    뿔제비갈매기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지구상에 딱 124마리뿐인 멸종 위기 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새는 무엇이고, 어떻게 발견되었으며, 왜 멸종 위기에 처해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이 새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이 새의 이름은 바로 뿔제비갈매기라고 합니다. 뿔제비갈매기는 멸종위험 정도가 절멸직전 단계인 위급으로 규정된 새로, 중국 동해안에서 번식하고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새는 어떤 모습이고, 어디서 살고 있나요?

    뿔제비갈매기는 어떤 새일까요? 뿔제비갈매기는 갈매기과에 속하는 작은 새로, 몸길이는 30~35cm, 몸무게는 100~150g 정도입니다. 까만 머리와 목에 붉은색 뿔모양의 부리를 가지고 있어서 뿔제비갈매기라고 불립니다. 날개는 회색이고, 배는 흰색이며, 꼬리는 검은색입니다. 남녀의 모습은 비슷하고, 새끼는 머리와 목이 회색이고, 부리가 짧습니다.

     

    뿔제비갈매기는 어디서 살고 있을까요? 뿔제비갈매기는 중국 동해안에서 번식하고,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이 새들이 한국의 무인도인 육산도를 번식지로 삼은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육산도는 전남 영광군에 있는 칠산도 가운데 하나로, 괭이갈매기,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등 멸종위기 새의 주요 번식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육산도에 뿔제비갈매기가 찾아온다는 것이 처음 확인된 것은 2016년이고, 이후 매년 7마리가 찾아와 번식을 하고 있습니다. 이 새들은 7월 중순에 번식지를 떠나 8월 초에 중국 산둥반도 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 새는 어떻게 한국 무인도에서 발견되었나요?

    뿔제비갈매기가 육산도에서 발견된 것은 우연히 한 환경단체가 육산도를 방문하면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20167, 한국자연보호협회의 조사단이 육산도에 갔는데, 그때 뿔제비갈매기가 한 쌍이 육산도에 서식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후 조사단은 뿔제비갈매기의 번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육산도를 계속 방문하였습니다. 그 결과, 뿔제비갈매기는 매년 7월 중순에 육산도에 도착하여 8월 초에 떠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뿔제비갈매기는 매년 7마리가 육산도에서 번식을 하고 있었습니다.

     

    뿔제비갈매기가 육산도에서 번식을 하고 있다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사례입니다. 뿔제비갈매기는 중국 동해안에서만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한국에서도 번식을 하고 있다는 것은 뿔제비갈매기의 생태에 대해 새로운 정보를 제공합니다. 뿔제비갈매기는 왜 육산도를 번식지로 선택했을까요? 육산도는 무인도이기 때문에 인간의 방해가 없고, 괭이갈매기,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등 다른 새들과 함께 번식할 수 있는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 새는 왜 멸종 위기에 처해있나요?

    뿔제비갈매기가 멸종 위기에 처해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세계자연보전연맹 (IUCN) 보고서에 의하면 뿔제비갈매기는 서식지 손실ㆍ훼손, 남획으로 인한 먹이 자원 감소, 사람의 방해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2 뿔제비갈매기는 바다 위에 떠 있는 작은 섬이나 바위에서 번식하는데, 이러한 서식지는 인간의 개발이나 오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줄어들고 있습니다. 또한, 뿔제비갈매기는 작은 물고기나 새우 등을 먹는데, 이러한 먹이 자원은 남획이나 해양오염으로 인해 감소하고 있습니다. 뿔제비갈매기는 사람의 방해에도 매우 취약합니다. 사람이 뿔제비갈매기의 번식지에 접근하거나, 알을 채취하거나, 새를 사냥하거나, 새를 교육용이나 애완용으로 분양하거나, 새를 교잡하거나, 새를 기름 유출이나 태풍 등으로 인해 훼손하거나, 새를 기름 유출이나 태풍 등으로 인해 훼손하면, 새의 번식이나 생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 새를 보호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뿔제비갈매기의 번식지인 육산도를 보호하고 존중합니다. 육산도는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있어 사람의 출입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뿔제비갈매기는 사람의 방해에 매우 민감하므로, 육산도에 가지 않거나, 가더라도 새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방법을 준수합니다. 예를 들어, 새들의 둥지나 알을 건드리지 않고, 새들을 놀라게 하거나 쫓아내지 않고, 쓰레기나 오염물질을 버리지 않고, 새들의 모습을 조용히 관찰하거나 사진을 찍습니다.

     

    뿔제비갈매기의 생태와 보전에 대해 배우고 알리고 참여합니다. 뿔제비갈매기는 우리나라에 처음 발견된 새로, 아직 많은 것이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뿔제비갈매기의 생태와 보전에 대해 배우고,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고, 보전 활동에 참여하면 뿔제비갈매기의 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뿔제비갈매기에 대한 책이나 기사를 읽고, 친구나 가족에게 뿔제비갈매기의 이야기를 해주고, 뿔제비갈매기 보호를 위한 기부나 캠페인에 참여하거나 자원봉사를 합니다.

     

    뿔제비갈매기의 먹이 자원과 서식지를 보존하고 복원합니다. 뿔제비갈매기는 작은 물고기나 새우 등을 먹는데, 이러한 먹이 자원은 남획이나 해양오염으로 인해 감소하고 있습니다. 뿔제비갈매기는 바다 위에 떠 있는 작은 섬이나 바위에서 번식하는데, 이러한 서식지는 인간의 개발이나 오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줄어들고 있습니다. 우리는 뿔제비갈매기의 먹이 자원과 서식지를 보존하고 복원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습니다.

    728x90